상단영역

포춘코리아 매거진 최신호를 무료로 읽어보세요.

본문영역

‘올림픽’이라는 ‘판도라의 상자’를 연 일본, 그 끝은?

역대 올림픽, 투자대비 이익 전무… 개최 후 성장률 침체는 덤

  • 기사입력 2021.07.23 16:04
  • 최종수정 2021.08.11 15:07
  • 기자명 이규복 기자

말도 많고 탈도 많은 ‘2020 도교올림픽-패럴림픽’이 1년을 늦춰 2021년 7월24일 막을 올렸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확산으로 긴급사태까지 발령한 가운데 열리는 이번 올림픽은 역대급 적자를 기록할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열지 않아서 발생하는 경제적 손실보다 열어서 발생하는 경제적 피해가 오히려 적다는 판단하에 강행한 것이 이번 올림픽이다. 일각에서는 이번 선택이 일본을 경제적, 사회적 몰락으로 이끌 것이라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이 같은 평가는 역대 올림픽을 살펴보면 충분히 근거 있는 주장으로 보인다.

올림픽은 이미 세계올림픽위원회(IOC)와 개최국 및 각국 이해 관계자들만이 원하는 ‘그들만의 잔치’로 변한 지 오래다.

멀리 갈 것도 없이 우리나라가 3년 전 강원도 평창에서 개최한 ‘2018 평창 동계올림픽-패럴림픽’만 봐도 알 수 있다. 정부에서는 세계가 인정하는 잘 치러진 대회라는 것을 강조하지만, 평창 올림픽을 위해 세웠던 시설물들은 3년이 지난 지금도 논란이 끝이질 않는 지역의 애물단지가 됐다.

유치 전부터 ‘이렇게까지 해야 하나’라는 비난이 나왔고 이를 무마하기 위해 꺼내든 카드가 국가적 위상 고취와 자국민의 자존감 상승 그리고 개최 전후로 이뤄질 경제적 효과였다.

하지만, 이런 말들이 개최만을 위한 사탕발림이었다는 것을 너무도 많은 개최국들이 보여줬다. 역대로 올림픽은 돈을 잡아먹긴 해도 돈을 토해낸 결과가 없기 때문이다.

▲평창 올림픽의 경제효과가 65조?

올림픽 개최지로 선정이 되면, 우선 해당 지역에 경기장이나 부가시설을 건설해야 한다. 때문에 건설경기가 살아나고 지역발전과 고용창출 등 국가적으로 경기가 부양된다고 선전한다. 또, 큰 스포츠 이벤트가 있으면 TV 등의 전자제품 수요가 늘어난다는 점도 경기부양의 한 예로 거론된다. 여기에 TV 중계권 판매 등의 수입도 기대한다.

지난 2011년 발표된 산업연구원 분석자료에 따르면, 평창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총생산액 유발효과는 20조4,973억원에 이른다. 또 부가가치 유발은 8조7,546억원에 달하고 23만여명의 고용유발효과도 가능할 것으로 추산됐다.

추미애 당시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올림픽이 개최되는 해 1월 최고위원회의에서 “경제적 효과가 65조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되는 평창 올림픽은 우리 경제가 침체의 늪에서 벗어나 일대 도양하는 계기가 될 것입니다.”라고 말했다.

65조원은 2018년 우리나라 예산의 7분의 1에 해당하는 수치다. 이 수치는 2011년 현대경제연구원이 발표한 ‘평창 동계올림픽 개최의 경제적 효과’라는 보고서를 참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보고서에 따르면 총 경제적 효과는 64조9,000억원. 직접적 효과는 21조1,000억원, 간접적효과는 43조8,000억원으로 전망했다.

직접적 효과는 올림픽 관련된 직접적인 투자와 소비 효과를 측정했다. 간접적 효과는 올림픽 개최 이후 10년 동안의 효과를 추정한 것이다. 평창을 세계에 알려 이후 관광지 부상에 따른 추가 관광 효과와 국가 이미지 제고 효과를 추정한 것이다.

이희범 평창 올림픽 조직위원장은 지난 2016년 11월 한국경영자총협회가 연 경총포럼에서 평창 올림픽의 경제효과는 10년간 32조원에 달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이 같은 대회 관계자들의 말과는 달리 해외 경제지들은 경제적인 효과가 크지 않을 것이라는 부정적 견해를 밝혔다.

동계올림픽을 통해 평창을 세계에 알리고 관광객을 유치하겠다고 했지만 동계 스포츠 시설이 더 잘된 나라들을 제치고 한국의 평창이란 곳을 찾아가기에는 특별한 이점이 없어 보인다는 지적이었다.

여기에 평창 동계올림픽은 당초 예상보다 개최를 위한 비용이 크게 늘어난 대회였다. 2011년 올림픽 유치 당시에는 사업비가 8조8,000억원으로 추산됐지만, 2017년에는 13조원까지 무려 48%나 늘었다.

평창을 품고 있는 강원도는 2017년 기준으로 부채가 5,900억원에, 재정자립도는 전국 17개 지자체 중 15번째로 재정상황이 좋은 편은 아니었다.

올림픽 이후 3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강원도와 평창이 부유해졌다는 뉴스는 접해보지 못했다.

 

▲역대 올림픽의 경제효과는 ‘-’?

올림픽을 통해 경제부흥이나 지역발전을 모색하겠다는 나라는 많았지만 역대로 올림픽에 투자한 금액만큼의 이득을 본 국가도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1998년 일본 나가노에서 열린 동계올림픽은 약 5조원의 적자가 났다고 한다. 나가노 올림픽이 열리기 전 1조5,000억엔을 투자하면 2조3,000억엔의 경제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이라는 발표가 있었다. 하지만 나가노의 현실은 올림픽을 위한 과도한 지방채 발행 이후 아직도 남아있는 빚이다.

벤쿠버 동계올림픽도 약 5조원의 적자를 봤다고 한다. 소치올림픽은 무려 50조원을 투자했지만 더 큰 적자로 돌아왔다고 알려졌다.

1976년 캐나다 몬트리올 올림픽은 역대 올림픽 중 가장 많은 12억3,000만달러의 적자를 내고 재정파탄에 이르렀다가 30년 동안 빚을 갚아오다 지난 2006년에야 빚에서 벗어났다.

그리스는 2004년 제1회 올림픽 개최 이후 108년 만에 다시 올림픽을 개최한다는 자부심에 원래 계획했던 예산 16억달러보다 10배를 지출했다. 이는 영국의 런던 올림픽과 비슷한 수준의 투자다. 하지만 영국은 그리스보다 경제 규모가 약 8배 크다. 결국 올림픽 이후 그리스는 심각한 재정 위기를 맞이하게 됐다.

이렇게 올림픽이 예상보다 경제적 효과가 없다는 것을 알게 된 일부 시민들은 올림픽 개최를 반대했다. 노르웨이 오슬로는 2022년 동계올림픽 유치에 나서려고 했지만, 주민들의 반대와 재정상의 문제로 유치 신청을 철회했다. 뮌헨도 동계올림픽 유치 신청을 하지 않겠다고 선언한 바 있다.

▲올림픽 개최 후에는 경제침체가 온다?

더 큰 시사점은 아이러니하게도 올림픽 개최 전후 개최국의 경제성장률은 떨어진다는 것이다.

국제통화기금(IMF)과 재정지속가능성지수(IFS)의 자료에 따르면, 한국과 일본, 멕시코, 캐나다를 보면 올림픽 개최 전후 경제성장률이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경우 1986~88년 경제성장률이 10%를 넘었지만 1989년 6.7%로 떨어졌다. 일본도 1964년에 올림픽을 개최할 당시 경제성장률이 13.3%p였지만, 1965년에는 5.7%로 떨어졌다. 중국 역시 2008 베이징 올림픽 직전 성장률이 14%가 넘었는데 올림픽 개최 이후 글로벌 금융위기를 겪으면서 한 자릿수로 떨어졌다.

하나금융경제연구소가 내놓은 ‘메가스포츠행사 개최의 경제적 효과’ 자료에서도 올림픽 개최 국가들의 경제성장률이 개최 후 성장모멘텀을 잃었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하계올림픽은 개최국과 개최지 선정에서 탈락한 국가들의 평균 경제성장률이 개최국은 개최 3년 전부터 탈락국보다 평균 2%p 이상 높은 성장률을 보였지만, 개최 이후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동계올림픽도 개최 후 2년 뒤 경제성장률이 개최에서 탈락한 국가에 비해 1.66%p 낮아졌다.

올림픽 전에는 올림픽 관련 투자에 집중하면서 경기부양 효과가 나타나지만, 올림픽이 끝나고 나면 투자가 감소하면서 성장률이 하락하는 ‘골짜기 효과’라는 것이다.

개최국들이 올림픽에만 투자하고 다른 부분에는 투자를 소홀히 하다 보니 이런 현상이 나타난다는 분석도 있다.

▲예고된 일본의 침몰?

2020 도쿄 올림픽은 근대 올림픽 124년 역사에 이미 '최초'의 발자국을 새겼다. 최초로 제때 개최되지 못하고 연기된 올림픽으로 기록된 것이다.

올림픽 취소는 하계와 동계 통틀어 모두 5번의 전례가 있다. 하계의 경우 1916 베를린 올림픽과 1940 도쿄 올림픽, 1944 런던 올림픽이 취소된 바 있고, 하계는 1940 생 모리츠 올림픽, 1944 코르티나 담페초 올림픽이 취소됐다. 사유는 모두 전쟁 때문이었다.

즉, 도쿄 올림픽은 최초로 연기된 올림픽이자, 전쟁 외의 요인으로 인해 정상적으로 개최되지 못한 첫 번째 올림픽인 셈이다.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은 ‘신종 플루’ 때문에 2016 리우데자네이루 하계올림픽은 ‘지카 바이러스’로 위기를 맞았지만 개최된 바 있다. 일본과 IOC도 이런 경험을 바탕으로 개최를 강행했지만 전세계로 빠르게 확산되는 코로나19의 위력에 결국 1년 연기라는 사상 초유의 결단을 내릴 수밖에 없었다.

1년을 연기했지만 여전히 기세를 죽이지 않는 코로나19로 인해 여전히 논란이 일고 있다.

일본 노무라종합연구소는 도쿄 올림픽 개최를 취소할 경우 직접적인 경제손실이 1조8,108억엔(약 18조6,760억원)에 이른다고 추산했다.

연구소는 도쿄도가 2017년 공표한 대회의 직접적인 경제효과 1조9,790억엔을 기초로 추산했다. 이중 운영비 1조2,70억엔과 티켓 판매비 900억엔, 관련 상품이나 TV 구입 등으로 발생하는 경제효과 2,910억엔 등이 대회 취소 시 모두 사라지게 된다는 것이다. 무관중으로 개최할 경우 티켓 판매는 손실을 보지만 운영비는 받을 수 있으므로 손실은 1,468억엔으로 크게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무관중이라도 대회를 개최해야 손실이 적다는 분석에 따라 코로나19 감염자가 폭증하는 가운데도 개최를 강행한 것이다.

노무라종합연구소는 대회를 취소하더라도 손실액은 지난해 명목 국내총생산(GDP)의 0.33%에 불과할 것으로 분석하며 “경기의 방향성을 좌우할 정도의 규모는 아니다”라고 밝혔다. 연구소는 오히려 코로나19 확산으로 내수가 위축되면서 발생한 경제손실이 더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지난해 4, 5월에 발령된 첫 번째 긴급사태 시 경제손실은 약 6조4,000억엔, 올해 1~3월의 두 번째 선언 때는 약 6조3,000억엔의 손실로 이어졌다고 추정했다.

세 번째 긴급사태에 따른 손실은 1조9,000억엔, 연장되면 약 3조엔이 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일본의 긴급사태는 이미 네 번째 발령됐고 여전히 코로나19 감염자는 늘어나는 중이다.

일본은 올림픽을 개최하든 안하든 이미 적자를 안고 시작하는 것이다. 여기에 코로나19가 더 확산한다면 이후 발생할 손실은 예상치를 월등히 뛰어넘을 것으로 전망된다.

 

도쿄 올림픽은 1년 연기 비용을 포함해 154억달러(약 17조4,700억원)가 투입된 올림픽 역사상 최대 비용이 들어갔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

매체정보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경기대로 15 (엘림넷 빌딩) 1층
  • 대표전화 : 02-6261-6149
  • 팩스 : 02-6261-6150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박노경
  • 법인명 : (주)에이치엠지퍼블리싱
  • 제호 : 포춘코리아(FORTUNE KOREA)
  • 등록번호 : 서울중 라00672
  • 등록일 : 2009-01-06
  • 발행일 : 2017-11-13
  • 발행인 : 김형섭
  • 편집국장 : 유부혁
  • 대표 : 김형섭
  • 사업자등록번호 : 201-86-19372
  •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2021-서울종로-1734
  • 포춘코리아(FORTUNE KOREA)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포춘코리아(FORTUNE KOREA). All rights reserved. mail to nkpark@fortunekorea.co.kr
ND소프트